■ 글로벌 금융위기가 도래함에 따라 기업들의 위험관리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더 부각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최근 인수합병 혹은 신기술 개발 및 원가절감을 통한 기업체질개선 등과 같은 다양한 재무적 이슈들이 기업들의 직면한 환경변화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리고 기업들은 자사의 매출 및 수익의 상황, 자본구조의 변화, 자본조달 및 소요자금 등의 추정 등을 통하여 적재적소의 자본의 배분 및 투자의사결정을 위한 경영진단 및 개선이 그 어느 때보다 가장 중요한 기업활동 중 하나가 되어가고 있다.
경영분석(기업가치평가)은 이처럼 기업의 전반적인 상황을 파악하여 미래 현금흐름을 예측하고, 불확실한 미래환경하에서 위험을 최소화하고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 경영방안을 마련하고 전략적인 수립을 위한 재무관리의 한 영역이다.
이러한 경영분석은 주로 재무비율분석, 종합지표분석 등 재무제표와 관련된 분석들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기존의 서적들 역시 대부분 재무제표분석 위주로 설명이 되어있다. 또한 너무 복잡한 수리적 방정식이 많아서, 실제로 이것을 사용하고자 하는 독자들에게 경영분석 자체에 대한 두려움과 불편함만 주는 것 같아 안타까웠다.
이에 본 저자는 단순히 재무제표분석을 토대로 기업의 재무적인 실태만을 파악하는 것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기업의 활동과 관련된 주변의 모든 정보를 활용하여 기업의 내‧외부 상황을 정확히 파악하고, 기업의 경쟁우위를 가져다 줄 수 있는 경영의사결정과 관련된 경영의사결정기준에 대해 살펴보고자 본서를 집필하게 되었다.
최대한 수식은 배제하고, 대학교육에 있어서도 모자람이 없게, 그러나 어렵지 않게 구성하여 실무 경영분석 담당자들도 참고서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더 나아가 경영전략 툴에 대해서도 설명함으로써, 기업의 내‧외부환경 분석과 재무제표분석 등을 병행하여 사업보고서 작성 및 기업의 신용평가 등급 책정 혹은 경영진단에도 유용하도록 서술하였다.
본서를 통하여 경영분석에 대한 전반적인 개념과 틀을 잡고, 실무적인 역량을 확보한 후에 기존의 서적들을 병행하여 공부한다면, 훨씬 더 학습효과 및 성과가 극대화될 것이라고 판단된다.
최근 경영분석 분야의 이론 및 실무와 관련된 체계와 원리들이 변화를 하고 있지만, 기본적인 원리는 변하지 않고 있으며, 주로 도산예측과 부실위험에 대한 예측 및 평가에 대한 수용와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그리고 인수합병과 자본예산 수립 및 경영진단에 대한 관심도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즉, 본서는 이러한 최근 경영분석의 트렌드를 반영하여 최근 기업들이 직면하고 있는 가장 중요시 해야 하는 기업의 자금관리 및 위험관리에 대한 직관력을 함양시키는 데도 일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본 저자는 단순한 경영분석 이론의 나열에서 벗어나 경영분석과 관련된 기본개념에 대한 정확한 이해 및 응용능력을 배가시킬 수 있도록 본 교재를 구성하였다. 더불어, 타 교재와 차별되는 점으로 재무분석뿐만 아니라 투자안 결정과 관련된 마케팅 전략에 대한 통합적인 시각 및 해석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하였다.
본 교재는 논리적이고 풍부한 경영분석 이론 및 내용설명과 함께 여러 예제 문제와 연습 문제에 대한 학습을 병행하여 학습효과를 극대화하도록 집필하였다. 또한, 경영학을 전공하지 않으면서 개인 및 기업의 재무관리에 관심을 두고 있는 비전공자들에게 경영분석 및 기업가치평가에 대한 유용한 지침서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더 나아가 자격증 대비와 대학원 진학 및 기업 재무 실무담당자와 금융업 종사자들에게 유용한 지침서가 되길 희망한다.
파인에듀센터 연구실에서 저자 윤홍근, 김진수
ㅣ 차 례 ㅣ
Chapter 01 경영분석의 개요
1.1 경영분석의 정의 및 의의
1.2 경영분석의 목적 및 필요성
1.3 경영분석의 2가지 분류
1.4 기업가치평가 실전지식
1.5 사업타당성 분석(시장성, 사업성 분석)
1.6 사업타당성 분석의 절차
Chapter 재무제표의 구성요소
2.1 재무제표의 종합적인 이해
2.2 주요 재무제표
2.3 경제적 부가가치(EVA: Economic Value Added)
Chapter 03 기업가치평가(재무분석을 중심으로)
3.1 재무비율분석
3.2 재무비율의 종류
3.3 종합평가
Chapter 04 자본예산(투자안의 경제성 평가방법
4.1 자본예산(Capital budgeting)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
4.2 투자안들의 기대현금흐름 추정방법
4.3 자본예산기법(capital budgeting techniques)
Chapter 05 추정재무제표와 손익분기점 분석
5.1 사업타당성 분석 및 재무계획(financial plan)
5.2 추정재무제표 산출과정
5.3 추정재무제표 기재요령
5.4 추정손익계산서 기재방법
5.5 추정재무상태표 기재방법
5.6 손익분기점 분석
Chapter 06 기업위험 분석
6.1 기업부실(corporate financial distress)의 정의 및 의의
6.2 기업부실의 원인과 유형
6.3 기업부실화 과정
6.4 부실예측모형(Bankruptcy prediction model)
6.5 분식회계(window dressing settlement)
6.6 레버리지 분석의 의의
Chapter 07 인수합병(Mergers & Acquisitions)
7.1 인수합병의 의의(Mergers & Acquisitions)
7.2 인수합병을 시행하는 이유
7.3 합병의 경제적 효과
7.4 인수합병 이전 점검해야 할 사항들
7.5 인수합병의 절차와 해외진출
Chapter 08 주식의 가치평가
8.1 주식의 가치평가(Valuation of Stock)
8.2 성장유형에 따른 보통주의 배당평가모형(growth dividend model)의 종류
8.3 주식의 종류
8.4 주식발행
8.5 펀드의 구조와 의의
Chapter 09 채권의 가치평가
9.1 채권(Bond)의 의의
9.2 채권의 종류
9.3 채무변제 불이행 위험과 신용평가
9.4 혼합채권
Chapter 10 질적인 경영분석
10.1 질적인 경영분석의 목적
10.2 외부환경 분석
10.3 내부환경 분석
■ 윤 홍 근
금오공과대학교 일반대학원 경영학과, 경영학 박사
현재, 구미전자정보기술원(GERI) 책임연구원, 금오공과대학교 지역산업경영연구소 선임연구원
(주) 미래경영연구소 책임컨설턴트
명지대학교, 동덕여자대학교, 경기대학교, 금오공과대학교, 안동대학교, 영동대학교 - 경영분석, 파생상품론, 재무관리, 투자론, 증권시장론, 무역학 등 강의
주요 저서 및 발표논문
KOSPI와 KOSDAQ의 포트폴리오 분산효과 실증분석
A Comparative Study on Inward effects and management performance of FDI(Foreign Direct Investment) among Korea, China and America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에서의 월별효과에 관한 재검증
Dividend Policy and Seasoned Equity Offering Announcement Effect
기업의 경영성과가 유상증자 공시효과에 미치는 영향
기업의 그린경영 인지도 및 영향도에 관한 연구: 대구 경북 지역을 중심으로 재무관리, 성진미디어
행복한 직장인들이 반드시 알아두어야 할 금융생활백서, 성진미디어
Stephen, Robbins, 경영학원론 11e, 공역, 성진미디어
공학도를 위한 엣센셜 재무관리, 한티미디어
■ 김 진 수
경북대학교 일반대학원 경영학과, 경영학박사
현재, 경상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과 교수
주요저서 및 발표논문
Open technology innovation activity and firm value: evidence from korean firms
Do strategic alliances in a deeloping country create firm value? evidence from korean firms
혁신이 부도위험에 미치는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