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성공을 위해 기업은 환경에 적응하려고 노력하지만, 특별한 기업은 환경을 바꾸려고 한다.
표준 경영전략은 저자의 표준시리즈 다섯 번째 책이다. 본서의 관점과 구성내용은 출간 즈음에 새롭게 정리한 것이 아니라, 25년 전부터 저자의 전략을 보는 관점과 강단에서 강의한 내용을 정리한 것이다. 저자는 기존 전략경영의 가설인 환경이 전략에 영향을 주고, 조직은 전략에 따른다는 순차성에 대해, 역으로 기업이 환경에 응전하여 자신의 내부능력을 경쟁환경의 게임법칙으로 설정할 가능성을 중시했다. 기업의 내외부 환경 간 전략적 적합성을 단순한 맞춤보다는 상호 영향력 행사, 나아가 상대를 자신 기준으로 변화시키려는 의도와 실질적 행사로 간주했다. 시간이 흘러 지금에야 지필을 들었지만, 사고와 연구 방향을 현재까지 유지하고 있다. 가령 저자의 표준 시리즈 네 번째 책인 「표준 해외직접투자와 외국인투자」에서도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정책 차이를 외국인투자정책의 목표와 수단 간에 ‘전략적 적합성’ 관점에서 첫 장부터 끝장까지 유지하며 풀어썼다. 어찌 보면, 이번 표준 경영전략 논리의 실전 적용의 예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표준 경영전략은 본서의 내용을 전달하고,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그동안 표준 시리즈에서 사용한 편집기법의 장점을 살려 적용했다. 가뜩이나 복잡한 이론 체계인 전략경영과 또한 새로운 관점까지 포함한 본서의 내용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최대한 독자 입장에서 문체와 편집을 시행했다. 만일 책을 읽고 이해가 안 된다면 오롯이 필자의 무능과 부족의 결과이다.
● 본문 내용에 해당한 사례를 되도록 풍부하게 작성하여 배치했다. 전략경영은 이 론뿐 아니라 실제 현장에서 적용하여 성과로 이어지는 실무적 속성도 있어, 사례를 통한 내용 습득에 어려움이 없도록 노력했다.
● 문체를 독자의 이해도에 우선순위를 두어 작성했다. 눈으로 보았을 때 강조·고 딕체가 소제목이 되도록 앞단에 기술하다 보니, 문장구조와 문법 측면에서 다소 어색한 면도 발생한다. 또한, 따옴표를 자주 사용했는데, 이는 용어나 정의로서 강조의 성격을 나타내기 위함이다. 겹따옴표는 강조보다는 인용의 경우에만 구별하여 사용했다.
● 하나의 긴 문장이나, 단락으로 작성하기보다는 단문으로, 동그라미 디자인(●)을 사용하여 핵심 요약정리 방식을 채택했다. 전체적 흐름을 문장으로 구성하여 읽을 때보다, 독자에게 개념정리가 더욱 잘 될 것이라는 기대감과 믿음에서다. 부디 저자의 예측이 맞았으면 하는 바람이다.
● 내용을 간추린 표를 삽입한 것이나, 그림을 많이 삽입하고 이에 대한 설명을 문 장으로 다시 기술했다. 내용 개념을 이해하는 데 있어 시각적인 도표화는 도움이 될 것이다. 다른 표준 시리즈와 달리, 좌우 여백에 특별히 요약이나 용어 정리를 삽입하지는 않았는데, 그만큼 편집과 구성만으로 이해가 되도록 최선을 다했다. 학습방법으로 읽으면서 본문 좌우의 여백이나, 도표에 독자의 생각과 느낌을 메모하는 방식으로 정리해 나가는 방법을 추천한다.
표준 경영전략의 출간에 학현사 편집부를 비롯한 임직원의 도움이 매우 컸음을 밝힌다. 표준 시리즈는 15년 전에 시작됐다. 지금까지 수고해준 학현사 전·현직 여러분께 특별한 감사함을 표한다. 또한, 박세원 대표님과 학현사의 창대한 발전을 기원한다. 그리고 학문의 세계와 삶에 있어 항상 저자의 앞을 밝혀주신 존경하는 임동운, 유성열, 임효숙 님에게도 감사함을 전한다. 마지막으로 지금의 학술적 소양이 있기까지 저자에게 많은 가르침을 주신 서울대학교 이동기, 조동성, 민상기, 박철순, 문휘창 교수님께 이 자리를 빌려 감사드린다.
2025년 화양동 연구실에서 짙푸른 창밖을 바라보며
저자 임성훈 드림
차례
제1부 전략의 정의와 환경분석
01 전략의 정의와 체계
전략 정의의 접근법
기업성장과 전략
본서의 전략에 대한 관점과 체계
02 외부환경 분석 1: 국가경쟁력과 입지
PESTL 국가환경 분석모형
다이아몬드 국가경쟁력 모형
입지 수명주기 모형
기회·위험 입지선정 모형
입지우위·경쟁우위 매트릭스 모형
03 외부환경 분석 2: 산업구조와 경쟁자
산업환경과 기업전략
산업분석 도구의 전략적 의미
산업조직론적 모형
5가지 경쟁요인 모형
산업수명주기 모형
산업속성과 국제전략
04 내부환경 분석: 자원·능력과 경쟁우위
기업 경쟁우위와 가치창출
내부능력 기반 전략경영 이론
자원·능력 기반 관점
핵심역량
지식기반관점
동태적 역량
소유경쟁우위와 국제기업
제2부 전략의 계획
05 기능수준 전략
기능수준 전략의 개념과 역할
주요 기능영역별 전략
기능수준 전략 분석: 마케팅전략
06 사업수준 전략
사업전략과 소비자 선택기준, 본원적 전략
포터의 본원적 경쟁전략
포터의 전략적 포지셔닝
핵심성공요인과 전략적 적합성
경쟁전략과 게임법칙의 변경
국제시장 선택 전략
07 기업수준 전략
기업수준 전략의 분석모형
수직적 통합
조달전략과 아웃소싱
전략적 제휴
다각화 전략
그린필드와 인수
국제기업의 기업수준 전략
제3부 전략의 실행
08 조직설계와 통제·평가
조직설계 모형과 핵심 요소
조직구조
조직문화
통제시스템
성과평가 시스템
09 변화와 혁신
변화와 전략경영 시사점
변화의 유형과 변화관리
혁신의 개념과 전략적 중요성
혁신의 최신 유형
경영혁신 기법과 분석모형
10 경영자, 지배구조, 경영윤리
경영자와 전략경영
경영자와 전략적 의사결정
지배구조와 전략경영
지배구조의 유형과 경영성과
경영윤리와 전략경영
경영윤리와 경영성과
국제기업과 경영윤리
미주
색인
임성훈
저자 임성훈은 건국대학교 국제무역학과 교수이다. 한양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대학원 경영학과에서 경영학 석사와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KOTRA 공채 입사 후 월드뱅크, 감사원, 대통령직속 동북아경제중심추진위원회와 동북아시대위원회에서 수석전문위원으로 상근하며 국가경쟁력과 다국적기업에 대한 이해를 넓혔다. 경제자유구역위원회,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 추진위원회, 한국기상산업기술원에서 민간위원과 비상근 이사로 현장의 정책과 전략수립 의사결정에 참여했다. 학문적 관심은 ‘경쟁력’이다. 동북아경쟁력, 한반도경쟁력, 한국의 국가경쟁력과 산업경쟁력, 그리고 우리 기업의 경쟁력이 연구대상이자 관점이다. 저서는 국내외에서 다섯 권의 표준시리즈를 비롯해 「북한을 사라, 한올」, 「한반도 경제특구, 학현사」, 「Rethinking SEZs as a Survival Strategy for North Korea, 미국 FcFarland & Co.」, 「외국인투자유치전략의 수립, 몽골 АДМОН ХЭВЛЭЛИЙН ГАЗАР」 등이 있다. 학술활동은 유럽국제경영학회 저널(IBR) 단독저자 2편 등 국제저명학술지(SSCI)에 십수 편의 논문을 게재하였고, 존 더닝(J. Dunning)의 세계국제경영학회 저널(JIBS) 서평에서 유일한 참고문헌으로 인용되기도 했다. 투자촉진 분야 영향력 높은 논문의 저자 373명 중 6위에 올랐고, 교육부(한국연구재단)의 우수논문, 인문학저술출판지원, 건국대학교 연구년 특별지원 등의 대상자로 선정됐다. 상훈으로 국무총리표창을 받았다.